리눅스를 가지고 할 수 있는 것은 수도 없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분야가 파일서버(NAS: Network-attached storage) 인것 같습니다. 요즘은 조그마한 네모박스형태의 NAS 제품이 많이 나와 간편하게 활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PC를 이용한 전통(?)적인 파일 서버만의 강점이 있기에 이부분을 다뤄 보려고 합니다.
(대상은 리눅스를 잘 모르시는 분들도 가능한데, 다만 중간중간 나오는 명령어들이 이해가 안될때는 따로 조금씩 공부하면서 따라오는걸 전제로 하겠습니다.)
일단 강좌 순서는 아래 대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상황을 봐서 여기에 좀더 추가적으로 활용할 만한 내용이 있으면 좀더 길어 질 수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강좌순서
구성도에서 보여주는 것은 집이나 소규모 사무실 내부에서 공유폴더로 사용가능하고 외부에서도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한 구조 입니다.
우분투 설치 PC 준비하기
삼바(SAMBA) ?
프로그램 설치하기
$sudo apt-get install samba |
이렇게 하면 일단 프로그램 자체는 설치가 끝났습니다.
다음에 접속할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먼저 리눅스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sudo adduser user1 $sudo adduser user2 |
$sudo smbpasswd -a user1 $sudo smbpasswd -a user2 |
$sudo nano /etc/samba/smb.conf # 아래 내용 추가
[user1_home] comment= My Folder path = /home/user1 read only = no browseabale = yes guest ok = no create mask = 0666 valid users = user1 [pub] comment=public # 폴더설명 path = /sharefolder/pub # 공유 대상 경로 read only = no # 읽기 전용 여부 browseable = yes # 해당 폴더가 보일지 여부 guest ok = no # 누구나 접근 가능여부 create mask = 0666 # 1. 파일 생성시 권한 비트 force create mode = 0 # 2. OR masking security mask = 0777 # 3. AND masking force security mode = 0 # 4. OR masking with security mask directory mask = 0777 # 5. 디렉토리 생성시 권한 비트 force directory mode = 0 # 6. OR masking directory security mask = 0777 # 7. AND masking force directory security mode = 0 # 8. OR masking with directory security mask |
create permission = ( create mask OR force create mode ) AND (security mask OR force security mode) |
$sudo /etc/init.d/smbd restart |
$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1b:1b:0a:8f:f7 UP BROADCAST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0 (0.0 B) TX bytes:0 (0.0 B) Interrupt:16 Memory:96400000-96420000 eth1 Link encap:Ethernet HWaddr 00:1b:1b:40:a9:c5 inet addr:192.168.1.109 Bcast:192.168.1.255 Mask:255.255.255.0 inet6 addr: fe80::21b:1bff:fe40:a9c5/64 Scope:Link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592504491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218177502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895777159784 (895.7 GB) TX bytes:16078571519 (16.0 GB) Interrupt:17 Memory:94400000-94420000 |
위처럼 2개의 폴더가 조회됩니다.
그러면 접근해서 파일을 보관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해서 첫번째 리눅스를 이용한 파일서버(NAS)구축하기 강좌를 마치겠습니다.
혹시나 가능한 필요한 부분만 쓴다고 불친절한 글이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C/MAC >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
황용석 2013.03.13 11:14
정말 정성 가득한 도움 만땅 되는 포스팅들입니다. 저도 이 후 강좌 기대합니다.
큰 도움되는 강좌에 감사 드립니다. -
초보 2013.04.23 23:19
강좌 보며 따라 하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조금 문제가 있습니다.
위에 작성된 예시문을 그대로 긁어서 붙혀 넣기 하고 .. 필요한 부분 (계정명,폴더이름) 수정후 실행 해 보면
pub 폴더 부분이 보이지 않습니다. --> mkdir 롤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
그리고 궁금한것이 하나 있습니다.
서버를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3명 이며 한명은 관리자, 두명은 사용자가 되며
관리자는 로컬에서 혹은 온라인에서 접속하여 모든 권한을 사용 할수 있게 하고
나머지 2명중 한명은 읽기,쓰기 권한, 나머지 한명은 읽기만 권한을 줄수 있는 방법과
하나의 폴더에 여러명이 접속 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
제 이메일은 pyun1ppp@naver.com 입니다.-
접근권한을 달리하는 방법은 일단 2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첫번째,
예를 들어 /sharefolder/aaa 디렉토리에 대해서 권한을 달리하려면
해당 경로에 대해 samba 매핑을 만들고 여기에 특정 유저만 접근가능하돌고 valid users를 주시고,
동일 경로에 또 다른 매핑 해주되 read only = yes 로 한뒤 누구나 접근가능하도록 valid users를 하지 않으면 됩니다.
두번째는, 해당경로의 쓰기권한을 그룹권한까지만 주는 방법입니다.
이는 리눅스(유닉스)의 파일권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
-
초보 2013.04.24 22:59
보이지 않던 폴더는 보이게 하였습니다 .. 오타가 있더군요 .. 그런데 pub 폴더에 접근을 할수가 없다고 나옵니다 ..
-
초보 2013.06.13 00:19
알려 주신것 처럼 잘 따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혹시 usb 외장하드디스크를 사용하여 저장공간을 늘리고 싶습니다.
여기 강좌의 내용으로는 .. '경로를 찾을수 없다' 라고만 나옵니다 .. ㅡ,.ㅡ; -
-
초보당 2014.02.16 13:55
안녕하세요. 서버공부에 아주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삼바서버로 손쉽게 홈서버를 구축하였구요. 혹시 궁금한게있는데,
vaild users = user1 로 했다고 치고 다른 pc에서 접근하려면 user1 로 접속할수있게 설명해주셨는데
만약에 user1 폴더를 user2가 사용하고싶다. 그런다면 그 밑에 vaild users = user2를 입력해주는 것 만으로 끝나는 것 같진 않은데 다른방법이 있을까요? 쉽게 말해서 한 폴더를 여러사람(guest가 아닌)이 사용하는거죠.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삼바의 접근권한은 운영체제의 접근권한위에 추가적인 접근권한관리가 제공됩니다.
리눅스에서 삼바를 적용한 경우
특정 디렉토리에 guest가 아닌 특정 여러 유저만을 접근하게 하려면 기본적으로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리눅스에 해당 공유디렉토리의 접근권한을 그룹까지만 부여하고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chown 명령과 chmod 명령사용 소유자와 접근권한 설정
이경우 valid users 를 없애면 누구나 삼바의 권한은 통과되지만 리눅스상의 접근권한에서 해당 그룹사용자까지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2. 두번째 방법은 리눅스에서는 특정폴더를 누구나접근가능하게 하고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물론 특정 그룹만 설정한뒤에도 가능합니다.)
# chmod 777 <해당디렉토리>
이후 삼바설정에서
valid users 에 접근가능하게 하고 싶은 사용자만 쭈욱 콤마(,)를 붙여
가면서 나열하면됩니다.
valid users = user1, user2, user3
이렇게 말이죠.
-
-